사회초년생이 반드시 가입해야 할 상품 추천 (3가지)
돈 Study Room/돈&Story

사회초년생이 반드시 가입해야 할 상품 추천 (3가지)

병무새 2021. 6. 19.
728x90

나만의 기준이니 참고용으로만 보시길 추천한다



1. 주택청약종합저축상품

일명 '청약통장' 이다

첫 직장을 가지기 전에 부모님들의 도움을 받아서
이미 가지고 있는 분들도 있을 것이다.
나 역시 용돈+알바비로 첫 직장을 가지기 전부터
가입해둔 상품이다.

주택청약종합저축상품
줄여서 '주택청약통장' 이라고 하겠다
주택청약통장은 필수이다

자료출처 - 청약홈
자료출처 - 청약홈


주택청약통장의 장점은 모두가 아실 것이다
간단하게 정리하면
미친 듯이 올라가는 부동산 시장에서
내 집 마련의 한줄기 빛과 같은 동아줄이다

상품이 비과세로 높은 이율이 있다고 하지만,
이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신축 아파트를 분양 가격으로 내 집 마련 가능!
대신 경쟁률이 치열한 단점이 있는
사회초년생에겐 매우 중요한
1순위 가입 상품이 바로
'주택청약종합저축상품'이다


임대 아파트를 들어가기 위해서도
청약통장이 필요하다

임대 아파트는 국가, 지자체 등의
지원을 받고 공급되는 아파트를 의미하는데
LH, SH 등과 같은 주택공사에서
공공임대, 국민임대 사업을 하여
국민들에게 임대아파트를 공급하는 것이다

이 이야기는 이전의 썼던 블로그와 겹치니
이 정도로 간단하게 정리하려 한다.



2. 적금 + 투자 공부

나는 사회초년생들에게 항상
최소 3000~5000만원의 목돈 마련을 위한
적금을 하라고 한다.

물론, 이 적금의 이율이 높으면 좋겠지만
2021년 기준으로 은행 적금이율이 2%만 되어도
높은 이율이라고 할 수 있다(1금융 기준)

나는 어떤 적금상품을 추천하는 것이 아닌
적금 그 자체를 추천하는 것이다
최대한 높은 이율의 적금을 노리는 건 당연하다
나는 사회초년생들이 2~3년 동안
적금으로 최소 3000~5000만원의 목돈을
다시 한번 더 강조하고 추천하는 바이다

내가 다니는 회사는 직원수가 1500명 정도 된다
오며 가며 볼 수 있는 다른 부서의 신입사원은
매년 10~15명 정도가 된다

그 신입사원들을 보면
투자를 하는 사람도 있고
적금만 하는 사람도 있고
소비를 많이 하는 사람도 있다

투자는 코인과 주식이 비율이 높았다
남들이 다 하니 적은 금액이라도
소소하게 한다는 코인 투자와
2021년 1월경 동학 개미 운동에 참가했던
사람들도 적지 않게 있었다.
(무슨 돈으로 하셨을까...)

반대로
적금만 하는 사람도 있었다
월급의 대부분을 적금만 한다고 한다

투자와 적금을 동시에 하는 사람도 있고,
적금에도 큰 비중을 두지 않고
투자도 남들이 하니 아주 소소한 금액으로 하며
소비를 많이 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분들이 월급의 몇%를 적금, 투자하는지는
실례일까 봐 물어보지 못했다
다만 소비의 형태는 지나가듯 물어볼 수 있었는데
남자일 경우 자동차를 고려하고 있고
여자일 경우는 자동차보다는 여행 쪽이었다
공통된 건 명품, 미용 및 건강 관련 소비영역이다

나는 꼰대같이 이분들에게
돈을 모으라니, 목돈을 만들어서
목돈을 굴려라 라는 말은 하지 않는다
절대!

만약 여러분들 중
적금만 하는 사람에 속한다면
나는 적금만 하는 이 기간 속에서
2~3년 후 만들어질 목돈을 굴릴 수 있는
투자 공부를 하길 매우 추천한다

사회초년생에게 두 번째로 중요한
반드시 가입해야 할 상품은
적금+투자 공부라고 할 수 있다

내가 추천하는 계획은 이렇다
2~3년 동안 적금을 가입하며
그와 동시에 투자 공부를 시작한다

예를 들이서
2021년 6월 1일 적금 가입
2023년 6월 1일 적금 만기
적금 금액 3000만원 이라면

적금 가입 시기 때부터
적금 만기 시기까지
나의 소중한 목돈을 굴릴 수 있는
투자 공부를 시작하는 시기가
목돈이 만들어지는 순간이 아닌
목돈을 만드는 그 순간부터
시작하라는 것이다

적금+투자 공부
이것이 내가 사회초년생에게
반드시 가입해야 할 상품으로 추천한다.



3. 비상금 - 통장 쪼개기


비상금의 개념이 무엇일까?
우리는 왜 월급에서 비상금을
따로 두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을까?

나는 항상 내 기준에서
나만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많이 한다

내가 바라보는 비상금의 개념은
'방어선' 이다

이 방어선의 역할은
일정 소비영역에서 일시적으로
과소비가 일어나는 경우,
이것을 '커버' 해줄 방어선이다.

예를 들어,
한 달에 내 개인용돈을 월급의 일부인
30만원으로 잡았는데 10만원이 초과된
40만원의 지출이 생겼다면?
이것을 '커버' 해줄 비상금이 필요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월급 통장에서
비상금 통장으로 '현금'을 빼 두라는 것이다

여기서 매번 강조하는 것이 있다
비상금을 소비영역으로 생각해선 안된다
비상금은 적금 영역으로 생각하길 추천한다
비상금을 소비영역으로 생각하는 순간
본인들의 소비 범위가 비상금만큼 늘어날 것이다

비상금의 다른 역할은
갑작스레 닥쳐오는 '현금성 위기' 이다

사회초년생 때는 많이 느끼지 못할 것이다
나도 고작 직장인 9년 차 정도이지만,
이 기간 동안 백만원 단위의 금액이
갑자기 필요한 시기가 반드시 온다.

나는 이를 '현금성 위기' 라고 말하지만
이건 내가 글을 쓰며 만들어 낸 단어이니
검색해도 나오지 않을 것 같다

예시일 뿐이니 참고만 하시길 바란다

나는 자동차 고장으로 몇백만 원의 수리비를
내야 할뻔한 적이 있었다
다행스럽게 보증기간이 남아서
300~500만원의 수리비를 아낄 수 있었다

만약 보증기간이 지나서 고장 났다면?
나는 300~500만원의 수리비를
갑자기 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주변에 왜 이렇게 아픈 사람들이 많은가?
다행스럽게 나는 아직 경험해보지 못했다
여러분들도 이런 경험을 하지 않았으면 한다
짧게 이야기하면 갑작스럽게 가족들 중
누군가 아프다면?
정말 생각지도 못한 지출 및 스트레스가 온다
제발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길 바란다.


인생의 풍파라면?
나는 꽤 보았다.
신용카드 및 대출을 자기 돈처럼 쓰다
대출 만기 기간이 다가오거나
이자만 내서 쓰는 거치기간이 끝나면
빚에 허덕이는 분들을 보았다
카드론, 고금리 대출, 신용대출 등등
빚에 허덕이다 결국 개인회생까지 이르는...

나는 여러분들이 이런 인생의 풍파를
알아서 비껴가길 추천한다

인생의 풍파는 매우 많다
대출해서(영 끌 해서) 투자 실패,
도박으로 인한 인생 풍파
명품 과소비로 인한 빚
고급 외제차 리스 빚

정말 다양하게 많다
여러분들은 이런 인생의 풍파를
만나지 않길 바란다.



혹시나 여러분들 중
청약통장, 적금, 비상금 이외의
다른 상품을 알아보기 위해서 온 사람들에게
글을 남겨 본다

나는 사회초년생에게
코인 투자, 펀드 투자, 연금보험 가입을
추천하지 않는 사람 중 한 명이다

나는 목돈을 만들어서 투자를 하라고
여러분들에게 권유하는 사람이다

이 이유는 나의 블로그에 기재되어 있으니
혹여나 궁금하시다면
한 번쯤 참고용으로 보시길 바란다

다시 말하지만
나는 정답이 아니다
내가 다 옳은 것은 아니다
다른 관점에서 볼 때
이런 사람도 있구나 정도로만
봐주셨으면 좋겠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