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 고려한다면? (Feat 할까? 말까?)
돈 Study Room/돈&Story

이직 고려한다면? (Feat 할까? 말까?)

병무새 2021. 8. 26.
728x90
By. 병무새 작가.

이직 고려한다면? (Feat 할까? 말까?)


이직을 꿈꾸는가?
나는 총 2번의 이직을 걸쳐
현재 직장에서 만 8년째 근무 중이다.

가끔 주위에서 이직을 고려할 때
이직을 생각할 때 이야기 나온 것을
토대로 이직 고려 시
미리 알고 있으면 좋은 것을 알아보자.

이직 전 알고 있었더라면
좋았을 것들에 대해서 알아보자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이직을 생각해본다.
대기업에 다니던 친구도 이직을 생각하며
결국 공무원으로 재 취업을 했다.

사실 이런 개념은 이직보다는
분야를 아예 바꾼 것이다.

친구는 대기업의 중공업 입사했고
몇 년 후 중공업 시장이 나빠졌다.

희망 퇴사를 권하던 회사 속에서
친구는 버티다 버티다 결국
육아휴직 기간 동안 공무원 준비를 하며
육아 휴직 기간 중 공무원 시험에 합격!

그렇게 새로운 직장에서
새로운 사람들과 사회생활을 한다.

친구의 경우를 보자.
다니던 회사가 대기업임에도 불구하고
불황이어서 희망퇴사자를 받고,
구조조정 속에서도 버티다 결국은
퇴사를 결심하게 된 것인데,

같은 계열 쪽으로 갈려다 보니
중공업 시장 자체가 불황이어서
결국 공무원을 선택한 것이다.

참고로 호봉 인정의 불확실성 때문에
친구는 지금도 간부직을 위한
공부를 끊임없이 한다고 한다.

만약,
여러분들의 입장이
친구와 같이 불황인 시장 속에서
생존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다른 분야로 변경하는 것도
나쁘진 않다고 생각한다.

이직 후,
더 높은 자리를 꽤 할 수 있다면
안주하지 말고 좀 더 노력을 해서
더 좋은 상황으로 가길 추천하는 것이다.


다른 사례를 보자.
같은 계열의 업종이다.

중소기업 → 중소기업
대기업 → 대기업

위와 같이 회사의 규모가 차이 없이
이직하는 것과 같은 개념인 사례다.

급여는 비슷했지만
훗 날 본인의 커리어를 위해서
다른 직장으로 이직해서
해외연수의 물꼬를 틀기 위한
이직을 생각하는 것이
매우 큰 비중의 이직 사례이다.

현재 다니는 직장에선
해외연수의 지원이 부족해서
해외연수가 활발한 직장으로
이직한다는 개념이었다.

하지만,
이직 시, 급여 부분에서
매우 큰 고민이 된다고 했다.

이직하는 회사에선
직원에게 해외연수 지원을 장려하지만
급여는 현재 다니는 곳보다 적다고 했다.

집과 직장의 거리는 비슷하여
문제 되는 것이 없었다.

이직 시 발생되는 상황은
현재보다 낮은 급여.
해외연수 지원 혜택.

두 가지가 였다.

급여의 차이를 구체적으로는
이야기해주지 않아서 얼마큼
차이가 날진 모르겠지만,
이전에 쓰던 소비가 있으니
쉽게 생각하지 못할 수준의
급여인 듯 예상된다.

이분은 아직도 고민 중이다.
아직은 이직을 하지 않으려고
하는 생각이 크다고 한다.

이유는 무엇일까?
이직을 위한 큰 목표가
해외연수를 하기 위함인데
해외연수 이후의 삶이 과연 평탄할지,
해외연수 이후 몇 년 동안 회사에서
묶여있어야 하는지 알지 못했고,

해외연수 이후에
본인이 원하는 삶을,
본인이 생각했고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을지가 불안하기 때문에
쉽게 이직을 하지 못한 것이다.

거기에 지금보다
낮은 급여를 받는다고 생각하니
[이직이 쉽지만은 않다]라고 말하더라.


이번 사례는
나의 경험담이다.

나는 이직할 때마다
페이가 높은 곳으로 이직했다.

목적은 페이였다.
즉, 연봉을 많이 쳐주는 곳으로
이직한 것이다.

연봉만 고집했던 이유는
연봉을 많이 주면 많이 줄수록
직원에 대한 복지가 높을 꺼란
생각으로 밀어붙인 것이다.

연봉을 많이 주는 만큼
일의 강도는 크다.

이직 전 직장에선
쉬엄쉬엄 일을 했다면?

이직 후 직장에선
직접 몸으로 부딪쳐 일을 하며
이직 전 직장의 일의 강도보다
많이 높았다고 생각된다.

하지만,
비교적 어린 나이,
즉 사회초년생이 불리는
직장인 1~2년 안에
이직을 2번 경험했고

일에 대한 강도가 높아져도
크게 힘들다고 생각이 들지 않았다.

매달 통장에 찍히는 월급을 보면서
[이직하길 잘했네!]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

참고로,
이직 전 직장에선 세후 170만 원가량,
이직 후 직장에선 세후 200만 원가량.

30만 원 차이이지만
사회초년생 땐 매우 컸다.

그리고 운 좋게도
연차가 쌓일수록
월급도 많이 올라가더라.

만약 내가 이직을 하지 않았다면?
이직 전 직장에서 3~4년을 일해도
월급 200만 원 받을 수 있을까?
라고 생각을 한다.

그만큼 이전의 직장은
일의 강도는 매우 낮았고,
그만큼 낮은 연봉을 받으며
일을 하는 구조였다.

일이 좀 더 힘들더라도
높은 연봉을 주는 직장으로
이직을 했고, 그 결과
이전에 다니던 직장보다는
일의 강도는 조금 힘드나
받는 월급이 높으니
만족했다고 생각한다.
지금도 후회는 절대 전혀 없다.


간단하게 3가지 사례만 들었다.

1.
본인의 일하는 분야가
불황이어서 구조조정 전에
스스로 다른 출구를 찾아서
이직하는 경우.

2.
현재보다 낮은 급여를 받지만
해외연수를 지원해주는 직장으로
이직을 고려 중.

3.
무조건 높은 연봉을 보면서
일의 강도는 높지만
받는 월급도 높은 직장을 골라서
이직한 경우이다.


사실 첫 번째는
무조건 잘한 이직이다.

본인 스스로가 탈출구를 만들어서
불황속에서 안정적인 곳으로
이직을 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 사례는
이직을 고려중인
현재 진행형 사례이지만
이직을 할지
이직을 하지 않을지
결론은 없지만,

여기서 좀 더 생각을 해본다면,
본인 스스로 해외연수 이후의 삶과
목표치가 정해졌고 그것을 하고 싶다면
개인적으로 이직을 추천한다.

물론 낮은 급여를 받아서
현재보다 소비능력이 저하되겠지만,
해외연수를 통해서
본인의 빌드업을 꽤 한다면?
좋은 판단이라 생각한다.

다만,
이직 시 해외연수 확정을 받고,
해외연수 후 급여 조정 가능성을
사측에 제기하며,
해외연수 이후의 성과를
현실 가능성과 구체성을 더하여
이직을 고려하길 바란다.


세 번째 사례는
조금 무식한 사례다.

사회초년생 1~2년 차라서
가능했던 사례였던 것 같다.

복지나 다른 것은 신경 쓰지 않고
본인의 빌드업이 가능한 체계를
생각하지 않고 무조건
[고연봉]만 보고 이직한 사례이다.

높은 연봉을 주는 회사일수록
복지가 좋을 수 있다.

하지만,
돈을 주는 만큼
일을 시키는 회사이기 때문에
일의 강도는 고려하길 바란다.


이직할 때
참고할만한 상항을 알아보자.

이건 순수한 개인적
의견이니 참고용으로만
보시고 본인이 판단하길 바란다.

이직 시 고려 사항.

1. 연봉

현재보다 더 높은 연봉으로
가길 추천한다.


2. 승진 및 커리어

현재 승진이나 커리어 쪽으로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다른 곳으로 이직을 할 때
현재 보다 높은 직급 혹은
본인의 커리어를 빌드업할 수 있는
체계(시스템)가 있는 곳으로
이직하길 추천한다.


3. 집과 직장 거리

무조건 가까운 곳이 좋다.
직장을 옮기면서
이사까지 고려한다면
문제 될 껀 없지만
그렇지 않다면?

집과 직장 거리가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좋다고 생각하니
이직 시 고려하길 바란다.


4. 이직 회사의 분위기

나의 경우는
1~2년 정도의 경력을 버리고
아예 신입으로 들어갔다.

왜 그렇게 했을까?
괜한 [텃세]를 버리기 위해서.

다시 배운다는 마음으로
지금 생각하면 단호하게,
매우 철없이 들어간 것이다.

이직하는 곳의 분위기가
어떤지 미리 알아보고
들어가길 정말 추천한다.

몸이 힘들면 버틸 순 있다.
정신적으로 힘들다면?
사람 정말 미친다.

이직하는 회사의 분위기를
직, 간접적으로 최대한 많이!
알아보고 이직하길 추천한다.


4. 대우

연봉과 별개이다.
정말 운 좋게
나를 스카우트해서 가는 상황이면
최대한 좋은 대우를 이야기하면서
협상하길 추천한다.

사실 대우를 받으면서
스카우트 제의를 받은 사람이라면
협상의 기본 중 기본일 것이다.

협상할 때 연봉을 더 높게
제시하더라도 회사에선
악감정이 없다.

다만 본인들에게 투자할
금액은 일부 정해졌기 때문에
거기서 본인들과 사측이
협의를 하는 것이다.

이것이 협상인데
무조건 저자세로 가지 말라.

당연한 대우를 받을 수 있을 만큼
협상을 잘 유도해라.

연봉이든,
다른 복지혜택이든,
근무 환경,
근무 시간,
본인이 회사에서 근무할 동안
스트레스 원을 제거하거나
기타 불필요한 잡음으로
스트레스받지 말기 바란다.

그러니 저 사세로
사측에서 무조건 응하기보단
충분한 대우를 받을 수 있는
원만한 협상을 하길 바란다.


5. 이직 전 본인 상태 점검

이직 전에 본인 상태를 점검하자.
무슨 말이냐?

도망가듯 가지 말라는 것이다.
현재 회사가 힘들어서
다른 곳으로 이직해야지!
이런 생각이라면?

이직해서도 분명 힘들 것이다.
다만 이 경우 높은 급여를 받는다면
의외로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

보상심리가 작용되기 때문이다.

다만,
본인이 생각하는 이직이
현재보다 나은 상황을 바라면서
구체적으로
체계적으로
미래적으로
현실적으로
가능한지를 충분히 생각하며
본인의 빌드업에 도움이 될 만한
이직을 고려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본인의 현재 상태를 점검해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충분히 여유 있게!
이직을 고려해야 한다.

이직 전 본인의 상태를 점검하자!

728x90

댓글